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간호학

강아지의 간과 관련된 질병 알아보기

by 루이스키 2022. 7. 14.

강아지의 간에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대표적인 질병에 대한 내용을 안내하겠습니다 

 

강아지의 대표적인 간 질환 알아보기

 

반려동물 간의 역할

간은 간세포, 간실질세포로 구성된 간소엽의 간격을 채우고 있는 세포, 혈관 및 담관계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간은 당, 단백질, 지방의 합성과 중간대사를 맡고 있지만 그 외에도 담즙, 빌리루빈의 합성과 배설, 해독, 일부 비타민의 활성화의 저장, 감염의 방어 등 여러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 이외에도 간은 더 많은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간이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간은 다른 장기에 비해 쉽게 피로해질 수 있는 장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간은 여러 대사에 관련되어 있고 간에 이상이 생긴다면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되므로 간 기능에 문제가 생기게 되겠습니다

특히 해독이나 외부의 감염의 방어 기능으로 간 자체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므로 간 자체의 희생이 되는 결과로 이어져 간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 본문에서는 간의 질병에 대한 증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문진, 검사 및 간호 포인트

간의 질병

먼저 문진으로 간의 질병에 대한 증상, 평소 해당 동물이 먹는 식이 내용, 나이, 백신 접종 유무 및 종류와 접종시기를 확인하며 동물의 체중에 대한 변화도 확인하도록 합니다

또한 문진 시 기왕증(간 질환, 황달, 수술, 수혈, 약물중독)에 대한 확인과 기왕증이 있었다면 투여한 약제를 확인합니다

검사에 대한 내용으로 피부의 상태 및 수종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며 황달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체중감소에 대한 유무 확인과 해당 동물의 의식장애, 정신장애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또한 혈액검사, 혈액 생화학적 검사, 항체검사, 분변 및 소변검사, X선 및 초음파 검사, 생검, 기타 검사가 있습니다

혈액 생화학적 검사로 간 기능의 확인을 하며, 항체검사는 필요에 따라 하도록 합니다

분변 및 소변검사로 하리의 유무와 빌리루빈뇨 및 유로빌리노겐의 확인을 합니다

X선 및 초음파로 복부의 검사를 하며 간의 크기 등을 확인합니다

간호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간에 대한 질병을 앓고 있는 동물은 쉽게 피곤한 상태이기 때문에 되도록 많은 배려를 하여 세심한 관찰을 하도록 합니다

복수가 차 있는 경우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겠습니다(호흡곤란 및 쇼크에 대한 대비)

아래의 본문에서는 처치 및 해당 동물에 대한 식이, 음수에 대한 설명을 알아보겠습니다

 

문진, 검사 및 간호 포인트

간의 질병을 앓고 있는 동물의 식이 및 음수로 다음 다뇨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상 깨끗한 물을 마실수 있도록 하며 혹시 구토가 나타난다면 물을 조금씩 자주 주거나 또는 수액을 이용한 방법으로 수분 공급을 합니다

지방이나 단백질에 대한 제한을 하도록 하며 소화를 잘하지 못하더라도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고 소화율의 식단을 급여합니다

만약 간성뇌증을 앓고 있는 경우라면 단백질을 최대로 더욱 제한한 식단을 급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욕부진을 겪고 있는 동물이 많기 때문에 식욕을 끌어올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간 질병을 앓고 있는 동물의 처치로 수액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액 처치 시 해당 동물에 대한 엄격하고 충분한 관찰이 필요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