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간호학

동물보건학 비뇨기계질환

by 루이스키 2022. 7. 8.

반려동물의 비뇨기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뇨기계는 신장(콩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비뇨기계의 콩팥

해당되는 기관계의 역할에 대해서 아래의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비뇨기계의 역할

비뇨기계의 역할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 또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체내의 혈액에 의해 운반된 해로운 물질을 신장에서 여과 후 소변을 생성하여 요관, 방공, 요도를 거쳐 신체 밖으로 배설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때 비록 신체에 필요한 성분이라 하더라도 신체 안에서 필요 이상으로 존재한다면 신장으로부터 걸러져 밖으로 배출됩니다

비뇨기계에서는 물질의 배설, 신체 안의 수분의 일정한 유지, 신체 내 산염기 평형(pH)의 유지가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비뇨기계는 신체의 항상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장은 비뇨기계의 장기이지만 그 외에도 인과 칼슘의 대사, 조혈인자의 생성 촉진 및 혈압이나 전해질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만드는 곳이기도 합니다

아래의 본문에서 비뇨기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비뇨기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병 및 증상

비뇨기 또한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이곳에 질병이 생긴다면 치료에 굉장히 까다롭거나 여러 번의 재발되는 질병도 많으며, 무엇보다도 회복하기 어려운 질병이 많기 때문에 보호자의 비뇨기계 질환에 대해 필요한 예방지식을 알려주는 것 또한 중요하겠습니다

또한 신장에 있어서 소변의 생성에는 소변의 재료인 혈액을 순환시키는 심장혈관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심장혈관계에 문제가 생긴다면 비뇨기계에도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되고, 반대의 경우라면 신체 내의 남은 수분이 저류 하여 전신적인 수종을 일으키거나 더 나가서는 심장혈관계에 영향을 주게 될 수 있습니다

이 처럼 비뇨기계와 심장혈관계는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주의를 하도록 합니다

비뇨기계의 질병은 생식기나 심장혈관계 등의 증상을 비롯해 여러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것이 많기 때문에 문진, 바이탈 사인의 확인, 전신 검사를 주의 깊게 충분히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뇨기계의 질병으로 다음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있습니다

빈뇨, 요실금, 배뇨곤란, 무뇨, 적색뇨, 다음다뇨, 핍뇨, 원기 소실 및 전신적인 수종 등

 

 

간호 포인트 및 기타 검사

비뇨기계 질병의 검사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혈액검사 및 혈액 생화학적 검사

소변검사로 자연적 배뇨, 샘플에 의한 검사 외에 필요하다면 도뇨 샘플 또는 방광 천자 샘플을 이용합니다

X선 및 초음파 검사로 복부(비뇨기 및 생식기)의 검사를 하는데 동물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방광 천자, 생검, 직장(항문) 검사, 미생물의 배양

그리고 필요에 따라 클리어 랜스 시험을 할 수 있습니다

클리어랜스 시험이란 신사구체의 여과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법의 하나로 신장기능의 지표가 됩니다

비뇨기계의 질병을 앓고 있는 동물의 간호 포인트로 다음과 같습니다

부담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쇼크를 일으키고 있다거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하며 쇼크가 일어났다면 쇼크에 대한 우선적 처치를 하도록 합니다

비뇨기계 질병을 앓고 있는 동물은 다른 합병증을 앓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간호를 할 때 동물을 충분히 관찰하며 필요에 따른 검사를 하면서 관리하여야 합니다

비뇨기계의 질환은 그 원인에 따라 간호방법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간호를 하도록 합니다

 

 

댓글